부동산 거래 시 발생하는 세금 종류 총정리!
국성
182 회
본문
안녕하세요. [국성 부동산 매니지먼트] 입니다!
이번 부동산 스터디에서는
"부동산 거래 시 발생하는 세금"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1. 부동산을 살 때 내는 세금
부동산을 구매하면 주
취득세, 지방교육세, 농어촌특별세가 발생합니다.
✅ 취득세
부동산을 사면 내는 기본적인 세금!
주택 가격에 따라 세율이 달라집니다.
1주택: 1~3% / 2주택 이상: 8~12%
✅ 지방교육세
취득세의 10%를 추가로 내야합니다.
예를 들어, 취득세가 1,500만 원이면 지방교육세는 150만 원입니다.
✅ 농어촌특별세
고가주택(9억 초과)이나 법인이 주택을 살 때 추가 부담하는 세금!
취득세의 10~20% 정도 부과됩니다.
정리하면
5억짜리 아파트를 사면 → 약 1,650만 원(취득세+지방교육세 포함) 납부!
9억 넘는 고가주택이면 농어촌특별세도 추가!
2. 부동산을 보유할 때 내는 세금
부동산을 가지고 있으면 재산세 & 종합부동산세(종부세)를 내야합니다.
✅ 재산세
매년 7월과 9월에 납부하는 세금
공시가격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0.1~0.4% 정도 부과됩니다.
✅ 종합부동산세(종부세)
1주택자는 공시가격 11억 초과부터 부과!
다주택자는 공시가격 6억 초과부터 해당!
보유한 주택 수와 공시가격에 따라 세율이 다르기 때문에
다주택자는 세금이 많아질 수도 있습니다.
정리하면?
집값이 낮으면 재산세만 납부!
고가주택(공시가격 11억↑) & 다주택자는 종부세도 추가!
3. 부동산을 팔 때 내는 세금
집을 팔면 양도소득세 & 지방소득세가 발생합니다.
✅ 양도소득세(양도세)
집을 팔아서 차익(=양도차익, 즉 시세차익)이 발생하면 내야 하는 세금
보유 기간과 주택 수에 따라 세율이 다릅니다.
1주택자는 2년 이상 보유하면 세금 감면 혜택 가능!
2주택 이상자는 기본세율(6~45%) + 추가 중과세 적용
✅ 지방소득세
양도세의 10% 추가 납부!
예를 들어, 양도세가 1천만 원이면, 지방소득세는 100만 원 입니다.
정리하면?
1주택자 장기 보유 시 세금 절약 가능!
다주택자는 양도세 부담 커질 수 있습니다.
한 눈에 볼 수 있는 요약표를 참고해주세요!
세금 절약 꿀팁!
.
.
.
부동산에 관한 상담 및 문의는 언제든지 환영합니다.
이상 [국성 부동산 매니지먼트]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