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사업자등록의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자!
국성
178 회
본문
안녕하세요. [국성 부동산 매니지먼트]입니다!
이번 부동산 스터디에서는
"임대사업자 등록의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과연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확인해볼까요?
부동산 임대사업자 등록을 고민중이라면,
어떤 혜택이 있는지, 단점은 무엇인지
제대로 알고 결정하는 것이 중요해요!
아래에서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임대사업자 등록의 장점은?
1. 세금혜택
- 취득세 감면/재산세 감면/양도소득세 감면/종합부동산세 합산 배제 -
2. 안정적인 임대 수익
✔ 계약갱신청구권(최대 10년)으로 장기 임대가 가능해 공실 위험 줄이기
✔ 임대료 급등 제한(5% 이내)으로 세입자와 안정적인 관계 유지
3. 보증금 보호 및 대출 혜택
✔ 주택도시보증공사(HUG)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가입 가능
✔ 일부 금융기관에서 임대사업자 대상 대출 우대 혜택 제공
임대사업자 등록의 단점은?
강제 임대 의무
✔ 등록 후 일정 기간 동안(4~10년) 임대 의무 유지 → 중간에 매도 어려움
✔ 임대료 상승률 제한(연 5% 이내) → 시세 대비 낮은 임대료 받을 가능성
세제 혜택 축소
✔ 정부 정책 변화에 따라 세제 혜택이 줄어드는 추세
✔ 종부세 합산 배제 등 과거보다 혜택이 축소됨
등록·관리의 번거로움
✔ 임대 등록 후 계약 신고, 임대차 갱신 관리 등 행정 업무 증가
✔ 일정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세금 감면 혜택을 못 받을 수도 있음
임대사업자 등록, 누구에게 유리할까?
1. 장기 보유 & 안정적인 임대 수익을 원하는 사람
2. 현재 보유한 주택의 취득세, 재산세 혜택이 큰 경우
3. 임대료 5% 제한이 큰 부담이 아닌 경우
반면, 단기 투자 목적이거나
시세에 맞춰 유연하게 임대료를 조정하고 싶은 경우라면
신중하게 고려하는 것이 좋아요!
부동산에 관한 상담 및 문의는 언제든지 환영합니다.
이상 [국성 부동산 매니지먼트]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